[CTL Teaching Tips #39] 온라인 국제협력 수업(COIL)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교수학습혁신센터
- 조회수1100
- 2024-05-24
교수학습혁신센터-20240524
<출처 표기방법> 이상은, 구민영, 김예진(2024). 온라인 국제협력 수업(COIL)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CTL Teaching Tips #39). 서울: 성균관대학교 교수학습혁신센터.
지난 5월 2일과 13일, 성균관대학교 교수학습혁신센터와 홍콩대 교수학습혁신센터는 2회에 걸쳐 WAVE/K-COIL (Worldwide Alliance for Virtual Exchange/Korean-Collaborative Online International Learning) 공동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실제 COIL 수업사례를 공유하고, COIL 운영 시 학생들의 문화 간 교류를 증진시키고, 문화 간 교류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방법을 토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COIL(Collaborative Online International Learning)은 서로 다른 국가 대학 소속의 교수자들과 학생들이 수업의 일정 부분을 온라인을 통해 공동으로 운영하고 참여하는 수업 방식입니다. 우리 대학은 지난 가을 COIL 수업 방식을 파일럿으로 도입하며, WAVE(Worldwide Alliance for Virtual Exchange)(K-COIL)라 칭하고, 홍콩대학교, 난양공대 등 세계의 다양한 대학들과 COIL을 통해 교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5월 13일에 열렸던 두번째 워크숍은 COIL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 간 교류, 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어떻게 증진시켰는지를 패널 토론 방식으로 다루었습니다. 약학, 문학 번역, 그리고 교육학 분야의 교수자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사례를 공유하고, 워크숍 참여자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티칭팁에서는 2차 성균관대-홍콩대 교수학습혁신센터 공동워크숍 내용을 바탕으로 COIL의 목표와 홍콩, 호주, 우리나라의 COIL 사례, 그리고 시사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COIL(Collaborative Online International Learning)의 목표
COIL의 주요 목표는 수업에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COIL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적, 민족적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상호문화 역량(Inter-cultural competency)을 갖추는 것을 추구합니다. 상호문화 역량에는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 구성 요소는 지식입니다. 학생들이 해외 동료의 문화에 대해 알고 이해하는 것이 COIL 활동 참여 및 미래의 전문적 실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해야 합니다. 두 번째 구성 요소는 태도입니다.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존중할 수 있고, 미래의 전문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야를 넓히는 방법으로 문화 간의 차이점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세 번째 구성 요소는 스킬 입니다. 의사소통 및 디지털 스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스킬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상호문화 역량을 갖춘 학생으로 키우기 위하여 숙련된 교육학적 설계와 준비가 필요합니다.
2. 홍콩, 호주, 우리나라의 COIL 수업 사례
가. 홍콩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CHK) 약학교육 COIL 적용 사례
홍콩의 COIL 사례는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CHK)의 학습강화 및 연구(Learning enhancement and research)센터의 부교수인 Vivian Lee 교수가 약학교육에의 COIL 적용에 대해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at Home’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하며, COIL 프로젝트의 SWOT을 아래와 같이 분석하여 제시하였습니다.
COIL 프로젝트의 주요 강점은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로서, COIL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파트너 대학이 캐나다의 University of Toronto(UoT)로서 홍콩과 큰 시차가 있어 양 대학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에 장애물이 되어 약점(Weakness)으로 작용하였습니다. 한편, 온라인 학습환경의 유연성은 좋은 기회(Opportunity)가 되었습니다.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은 줌을 사용하였기에 공간을 이동할 필요가 없었고 오전 8시 30분 수업이었음에도 높은 출석률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COIL 프로젝트는 대학의 지원이 부족할 경우 위협(Threats)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국가 간 협업을 촉진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힘든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강력한 팀 정신(sprit)과 공유하는 가치를 가진 팀이 없다면 실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Vivian Lee 교수의 COIL 프로젝트는 ‘시차’가 주요 장벽으로 있었으나, 양 대학의 교수자와 학생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녀는 COIL을 통해 학생들이 자국(홍콩)을 떠나지 않고도 가정과 교실에서 국제화를 경험하는 의의가 있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나. 호주 Monash University 번역대학원 COIL 적용 사례
Shani Tobias 교수는 Monash 대학교 상호문화(Interculture) 연구실의 교육 코디네이터이자, 번역과 통역 교육의 전문가로서 Leeds 대학의 동료인 Martin Ward 박사와 COIL을 운영하였습니다. Shani 교수는 먼저 4단계로 이루어진 Monash 대학교의 COIL 모델을 설명하고, 자신과 동료가 어떻게 수업을 운영하였는지 소개하였습니다. 양 대학 학생들로 구성된 팀은 줌을 활용하여 2주 동안 공동번역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공유 문서용 Google 드라이브, WhatsApp 을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마지막 세션에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Q&A 시간을 가졌습니다.
Shani Tobias 교수는 COIL 전후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을 실시하여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은 서로 다른 교육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 학습하는 것이 가치 있다고 언급하였고, 자신의 그룹 구성원들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의사소통, 팀워크, 리더십, 조직 기술, 프로젝트 관리 스킬과 같이 프로페셔널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 스킬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정규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 수업의 국제적인 활동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한편, 호주 대학과 영국 대학 간 COIL 프로젝트의 한계도 확인하였습니다. 먼저, ‘시차’입니다. 영국과 호주 간에는 10시간의 시차가 있어 실시간 미팅을 잡기가 어려웠고, 비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의 경우에도 메시지나 댓글에 대한 답변을 받기까지 약 12시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학생들이 학위 과정에서 서로 다른 단계에 있어서 Monash 대학 학생들은 모두 석사 과정 학생이었지만 Leeds 대학 학생들은 이제 막 과정을 시작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이는 호주와 영국의 학년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일이었고, 그룹 구성원 간의 지식 격차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대해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Shani Tobias 교수는 COIL의 추가적인 도전과제로 언어와 협력에 대해 언급하였습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은 영어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데 주저하거나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영어가 모국어인 학생들이 토론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서로 다른 학습 문화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그룹 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서로 다른 기대와 선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OIL이 효과적이기 위해서 다양한 학습스타일을 수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문화 간 상호 작용의 기본 언어인 영어수준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습니다.
다. 성균관대 교육학 교과목 COIL 적용 사례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노진아(Jina Ro)교수는 “Planting the Seed And Waiting for Blooming”라는 제목으로 지난 학기 SKKU WAVE/K-COIL 프로그램 참여와 이번 20214학년도 봄학기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노진아 교수가 운영한 수업은 싱가포르의 난양공대(NTU: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의 동료와 협력하여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에게 글로벌 경험을 제공하고 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2023학년도 2학기 ‘교육과정기초’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난양공대 교수자로부터 싱가포르 교육 시스템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해 배우고, Padlet이라는 툴을 사용하여 자신을 소개하고 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노진아교수는 파일럿 WAVE/K-COIL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대학 학생들이 다른 나라의 교육 시스템과 문제에 관심이 크고, 외국인과의 상호작용에 열정적이었으며, 파트너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즐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강의 형식의 프로그램보다는 학생 중심적이고 참여적인 접근 방식이 다문화 역량을 키우는데 적합한 방식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노진아교수와 동료는 새로운 교과목을 설계하여 2024년 봄학기 “미래사회와학교교육”이라는 과목을 열었습니다. 국제어로 이루어지는 이 수업은 교육학과의 학부생 및 석사과정 학생 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 관심이 있는 교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열렸으며, 학생들이 미래에 인간과 사회를 위한 학교 교육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생각하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이번 학기 수강생들로는 중국과 네덜란드에서 온 대학원생 3명과 우리 대학 학부생 14명이 있고, 총 17명의 학생들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수업자료를 읽고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싱가포르 교수자와 함께 공유하는 독서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노진아 교수는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과 아이디어를 접하여 글로벌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업이 학생중심으로 이루어고지 참여적인 활동이 중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3. COIL 발전을 위한 제안
홍콩, 호주, 우리 대학의 COIL 수업사례는 앞으로 수업에서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있음을 제안합니다. 우선, COIL을 함께 설계하고 운영할 파트너와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또한 학생들을 초대하고 준비하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서로의 문화적 배경과, COIL 수업에 거는 기대치, 다양한 학습스타일을 이해하고 국제 학습동료들과 함께 경험하는 것이 미래를 준비하는 글로벌 역량을 개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고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고, 어떻게 참여하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유도할 것인가도 COIL 교수자들과 대학에 주어진 과제입니다. 위의 세 사례 모두 학생들 간 영어 실력과 다문화 사회에 노출된 정도가 크게 차이 난다는 점을 확인해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교과목의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대학이 해주는 것입니다. 파트너 대학으로 초청장을 보내거나, 수업설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수업운영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성균관대-홍콩대 교수학습혁신센터 WAVE/K-COIL 공동워크숍 내용을 바탕으로 COIL의 목표와 운영사례, 도전과 제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COIL의 목표는 수업을 통해 국제화를 촉진하고 학생들이 지식, 태도, 스킬적 측면에서 상호문화 역량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홍콩, 호주, 우리 대학의 사례를 통해 COIL 프로젝트에서 그룹을 이루고 프로젝트를 함께 하며 다양한 관점과 아이디어를 접하고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역량을 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편, 시차와 지식 격차, 영어능력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도 있었습니다. 앞으로 COIL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COIL 교수자들이 학생의 요구와 의견을 조사하고 잠재적인 문제에 대비하며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체제를 구축해가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우리 대학의 WAVE(K-COIL)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영상과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십시오.
* WAVE(K-COIL) 소개 영상: https://youtu.be/2750fe_pwkU 배상훈 교수 (디지털교육혁신원장/교무처장)
* WAVE(K-COIL) 소개 홈페이지: https://wave.skku.edu/wave/WAVE.do